====== 문서 제본 방법 ======
자동 천공 제본기 사용법
===== 사전 점검 사항 =====
(점검하지 않으면 종이를 버리거나 다시 제본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. 심할 경우 천공한 모든 종이를 폐기 해야 할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)
- 용지 사이즈에 맞춰 왼쪽 바닥의 고정 클립이 고정 되어 있는가? (a4기준 죄측 끝)
- 용지 사이즈에 맞춰 천공 수량이 맞게 되어 있는가? (a4 가로 천공 기준 우측 6번째 쇠가 길게 당겨져 있어야 한다)
- 용지 마진이 3.5로 맞추어져 있는가? (변경 빈도는 적지만 사전에 청소등으로 인해 눌려서 설정이 변경 될 경우가 있다.)
- 폐천공함은 비워져 있는가?(가득 찬 상태에서 추가로 천공할 경우 기계 자체의 비틀림이나 파손이 생길 수 있다)
- 와이어 압착기 규격이 와이어 규격과 동일하게 셋팅 되어 있는가?
* {{:work:제본:1-1.png?nolink|}}
===== 제본 방법 =====
- 제본 할 권당 페이지수와 수량에 맞춰 와이어링, 페스티벌 색지, pvc 수량 확보.
- pvc는 앞뒤로 들어감으로 준비 수량은 제본 수량 x2가 되게 한다.
- 수량 확보 되지 않을 시 와이어링:페스티벌:pvc = 1:1:2 비율로 주문한다.
- 주문시 권당 페이지수가 30매 이하일 경우 9.5, 이상일 경우 11이나 12.5로 주문한다. \\ {{ :work:제본:2-1-c.png?nolink |}}
- 제본 할 수량만큼 확보된 페스티벌, pvc 선 천공 (1회 천공시 4매를 추천한다. 더 많을 시 천공기에 무리가 가거나 심한 소음이 발행한다.) 천공시 사전 점검 사항을 확인해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. 우측 녹색 버튼 누르면 자동 천공 \\ {{ :work:제본:2-2.png?nolink |}}
- 제본 할 프린트물을 천공한다. 1회 천공 시 페이지 수는 20매를 초과하지 않는다.
- 와이어링을 링 거치대에 거치한다.
- 와이어링에 페스티벌 색지 1장과 pvc 2장을 끼워 넣는다. \\ {{ :work:제본:2-5.png?nolink |}}
- 제폰 프린트물을 뒷면이 위로 가도록 뒤집어서 끼워 넣는다.
- 색지, pvc, 프린트물이 빠지지 않게 조심스럽게 와이어링을 거치대에서 들어 올린다.
- 와이어를 와이어 압착기에 넣는다. 넣을때는 와이어의 두 끝부분이 안쪽 벽면에 바짝 붙여 넣는다. \\ {{ :work:제본:2-8.png?nolink |}}
- 압착 하기 전 와이어 압착 두께가 와이어링 규격과 동일한지 확인하고 압착 레버를 내려 와이어를 압착한다. \\ {{ :work:2-9.png?nolink |}}
- 압착이 수평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았을 경우 뒤집어서 한번 더 압착한다.
- pvc 두장이 붙어있는 면을 펼쳐서 접은 뒤 프린트물 제일 앞면이 보이는지 확인한다.
- 제본 이 끝나면 폐 천공함을 비운다. (날릴 수 있으니 작은 비닐 봉이제 비운 후 휴지통에 버린다.) \\ {{ :work:2-10.png?nolink |}}
- 인포에 있는 청소기로 뒷정리 한다.
===== 점검 사항 =====
* 앞면
- 첫페이지가 pvc
- 다음페이지가 프린트물 첫면인지 확인한다.
* 뒷면
- 제일 뒷면이 pvc,
- 그 다음이 색지,
- 그 다음 면에 와이어링 압착 부분 으로 순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한다. \\ {{ :work:3-2.png?nolink |}}
===== 제품 홈페이지 및 매뉴얼 =====
* Probind WE-2500
* {{ :work:제본:probind_we-2500.pdf |}}
* http://copierland.com/
===== 기타 =====
* 과거 메뉴얼{{ :work:제본:제본메뉴얼.xls |}}